본문 바로가기
변호사 없이 이혼하기?

협의 이혼 절차 A-Z 총정리

by 라이프 인테리어 2025. 6. 20.

협의 이혼 절차

솔직히 말씀드리면, 저도 ‘합의이혼’이라는 말만 듣고,
“그냥 동사무소 가서 도장 찍으면 끝나는 거 아니야?” 했었어요.

 

그런데 막상 하려고 보니, 서류, 숙려기간, 법원 출석, 양육계획서, 동사무소 신고까지…
머리가 아프더라고요. 😓

 

특히 서류 하나 빠지거나 일정 놓치면,
그날 하루 통째로 날릴 수도 있다는 점, 정말 실감했습니다.

 

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막막한 분들을 위해
협의이혼 절차 A부터 Z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.


이 글을 끝까지 보시면, 실수 없이 정확하게 진행하실 수 있어요.

 


✔  협의 이혼 절차 A to Z 총정리

✅ Step 1. 협의이혼 사전 준비

  1. 이혼의사 확정
    • 양쪽 모두 ‘정말 이혼하겠다’는 의지가 있어야 해요.
    • 싸운 김에 홧김에 신청했다가 취소하는 분들, 은근 많습니다…
  2. 필수서류 준비
    각자 주민센터나 정부24에서 발급 가능해요.
  3. 필요서류부부 각각 준비해야 함

     

    가족관계증명서(상세) O
    혼인관계증명서 O
    주민등록등본 O
    신분증 O
    미성년 자녀 있으면: 양육계획서 O

     

     

협의 이혼 절차


✅ Step 2. 법원에 협의이혼 신청 접수

  • 관할 가정법원에 부부가 함께 출석해야 해요.
  • 협의이혼의사확인신청서를 법원에서 작성합니다.
  • 서류를 접수하고 나면, 법원에서 숙려기간을 안내해줍니다.

협의 이혼 절차


✅ Step 3. 숙려기간 (자녀 여부에 따라 다름) 자녀 있음/자녀 없음

 

3개월 숙려기간 1개월 숙려기간
 
  • 숙려기간 중에는 신중하게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는 의미예요.
  • 단, 가정폭력/응급사안 등은 숙려기간 면제 가능 (증빙 필요)

협의 이혼 절차


✅ Step 4. 가정법원 재출석 → 이혼의사 확인

  • 숙려기간이 끝나면, 법원에서 이혼확인기일을 지정해줘요.
  • 다시 부부가 함께 출석해서 최종 확인 절차를 밟습니다.

📌 이때도 신분증 꼭 지참!
📌 미성년 자녀가 있다면 양육비·면접교섭권에 대한 합의서 제출 필요해요.

→ 이후 법원에서 ‘이혼의사확인서’를 발급해줍니다.

협의 이혼 절차


✅ Step 5. 이혼 신고 (구청·주민센터)

  • 법원에서 받은 이혼의사확인서 원본을 가지고,
  • 주소지 관할 동사무소(구청)에 가서 이혼신고서 작성합니다.
  • 이혼신고는 한쪽만 가도 가능하지만, 양쪽 도장(서명)이 있어야 해요.

⏰ 주의! 반드시 ‘이혼확인서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’에 신고해야 효력이 생깁니다.

협의 이혼 절차


✅ Step 6. 이혼 완료 및 주민등록·호적 정리

  • 동사무소에서 이혼신고가 접수되면,
    가족관계등록부 및 주민등록등본에 ‘이혼’ 표시가 됩니다.
  • 이후에는 자녀의 양육자 정보 변경도 가능해요.
  • 주소지 변경이나 실거주 상황도 다시 점검해보는 게 좋아요.

협의 이혼 절차


✔ 협의이혼, 순서만 알면 덜 어렵습니다

합의만 되면 금방 끝날 줄 알았는데,
법원 2번 가야 하고, 구청 신고까지 신경쓸 게 한두 가지가 아니더라고요.

 

하지만 이렇게 단계별로 정리해서 하나씩 진행하시면,

크게 어렵지 않게 협의이혼을 마무리하실 수 있어요.

 

저도 처음엔 인터넷 글 여러 개 찾아보느라 더 혼란스러웠는데,
이 글 하나만 봤으면 1시간은 아꼈을 거예요.

 

혹시 주변에 이혼 고민 중인 분이 있다면,
이 포스팅 공유해 주세요.


진짜 실무에 필요한 정보만 골라 담았으니까요. 💬

힘든 결정 내리신 만큼, 절차만큼은 확실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하시길 바랄게요. 🙏